김예지 의원은 1980년 12월 13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림동에서 태어났으며, 현재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국민의힘 소속으로, 국민통합위원회 위원, 약자와의 동행위원회 입법동행분과 위원, 장애인위원회 고문 등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김예지 의원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하고, 피아노 석사 과정을 마친 후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피바디음악학교와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음악 예술 박사 학위를 취득한 바 있습니다.
김예지 의원의 경력은 음악 분야에서부터 정치 분야까지 폭넓게 이어져 있습니다. 그녀는 덕영트리오와 하트시각장애인 체임버오케스트라에서 활동했으며,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강사와 교수로 재직한 경험도 있습니다. 또한, 한국장애예술인협회의 이사로서 장애 예술인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미래한국당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국민의힘 원내부대표로서 정치적 역할을 해왔습니다. 김 의원은 장애인 예술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장애인 관련 위원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예지 의원은 장애인 복지와 문화 예술 정책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물로,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제22대 국회에서 장애인 예술 정책의 지지와 개발을 위한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그녀는 국민의힘 내에서 장애인 예술정책지원본부장을 맡으며, 장애인의 권리 향상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장애인 예술인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김예지 의원은 대한민국의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 출신 정치인으로, 현재 제22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980년 서울특별시 도림동에서 태어난 김예지는 선천성 망막색소변성증으로 인해 12세에 시각을 잃었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이를 극복했다.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음악 예술 박사학위를 취득하며 피아니스트로서의 길을 걸었다. 2018년 평창 동계패럴림픽 폐막식에서 피아니스트로 참여하는 등, 장애를 극복하고 음악의 세계에서 큰 업적을 쌓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예지는 단지 음악인으로서의 경력을 넘어, 정치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김예지는 2020년 3월 11일, 미래한국당에 입당하며 정치에 발을 들였다. 당시 한선교 대표에 의해 당에 영입된 그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불식시키기 위해 "선천적 장애인도 의지가 약하지 않다"는 발언으로 사회적 주목을 받았다. 같은 해 21대 총선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었고, 이후 당의 대변인직을 맡으며 첫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2020년 4월에는 국회에서 시각장애인 안내견의 출입을 요구하며, 장애인 권리 향상을 위한 의정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미래한국당이 미래통합당과 합당하면서, 김예지는 국민의힘 소속으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정치적 소신을 갖고 장애인 정책 및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입법을 추진해왔다.
김예지는 그동안의 정치 활동 속에서 장애인을 위한 법과 정책을 수립하는 데 힘써왔다. 2022년에는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으며, 여러 차례 장애인 권리와 관련된 시위에 참여하며 자신의 입장을 표명했다. 특히 2024년, 장애인 보조견 출입권을 보장하는 법안을 발의하는 등 장애인 복지 향상을 위한 법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또한, 김예지는 보수적인 국민의힘 소속으로 활동하면서도 진보적인 성향을 띠는 정책을 지지하고, 당 내외에서 ‘빅텐트’라는 개념을 실현하는 데 기여했다. 2024년 3월, 국민의힘에서 제명된 후에는 국민의미래로 당적을 옮기며, 계속해서 정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국회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일종 : 대한민국 제20-22대 국회의원, 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2) | 2024.12.10 |
---|---|
박충권 : 탈북자 출신의 제22대 국회의원. 그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12.10 |
강선우 : 대한민국 제21·22대 국회의원, 그녀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12.07 |
대한민국 제14·18·19·20·22대 국회의원 박지원. '정치 9단' 그에 대해 알아보자.Araboza (2) | 2024.04.25 |
'1400억!' 국회의원중 재산 1위는 누구? 국회 재산 신고 공개 (1) | 2024.03.29 |